맨위로가기

마야부인 (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야부인은 신라의 왕족으로, 진평왕의 정비이며 복승 갈문왕의 딸이다. 선덕여왕, 천명공주, 선화공주, 천화공주를 낳았으며, 선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화랑세기》에는 마야부인에 대한 기록이 있으나, 위서 논란이 있어 실제 역사로 보기 어렵다. 여러 드라마에서 마야부인을 다루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한국의 여자 - 사도왕후
    신라 진흥왕의 왕후 사도왕후 박씨는 동륜태자, 진지왕, 김구륜을 낳았고, 진흥왕 사후 태상태후로서 섭정을 맡았으며, 진지왕 폐위와 진평왕 옹립에 관여했다는 기록이 있고, 묘법이라는 법명으로 출가하여 영흥사에서 생을 마감했다.
  • 7세기 한국의 여자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7세기 한국의 여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 신라의 왕비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비 - 만월부인
    만월부인은 신라 경덕왕의 왕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로, 아들이 없던 중 불국사 승려 표훈의 도움으로 혜공왕을 낳았으며 혜공왕 즉위 후 태후로서 섭정을 맡았다.
마야부인 (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야부인
마야부인
작위부인, 공주, 왕후, 왕비
원래 이름김마야(金摩耶)
다른 이름복힐구(福肸口), 석가모니(釋迦牟尼)
출생일생년 미상
사망일몰년 미상
배우자진평왕(眞平王)
자녀천명공주(天明公主), 선덕여왕(善德女王), 선화공주(善花公主), 천화공주(天善公主)
부왕김복승(金福勝)
모후생모 미상, 계모 송화공주(松華公主 松花公主)
종교불교(佛敎)
가문경주(慶州)
왕조신라(新羅)
묘호미상
시호마야(摩耶)
재위
재위 기간579년 ~ ?
전임자지도부인 박씨(知道夫人 朴氏)
후임자선덕여왕(善德女王)

2. 생애

복승갈문왕의 딸로, 이름은 복힐구(福肸口)이다. 진평왕의 정비이며, 마야부인(麻耶夫人)이라고도 표기한다.[1] 진평왕은 마야부인에 이어 승만부인 손씨를 후비로 두었으나, 왕통을 이을 왕자를 얻지 못하였다.[1] 그리하여 마야부인 소생 덕만공주가 왕위에 올라 선덕여왕이 되었다.[1]

3. 가계

마야부인은 복승 갈문왕의 딸이며,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 진평왕과 결혼하여 천명공주, 선덕여왕, 선화공주를 낳았다.

3. 1. 조상

(마야부인)2. 복승
(갈문왕)3. 송화공주|송화공주한국어4. 산종공5. 사도미6. 박영실7. 지소태후|지소태후한국어8. 소지 마립간
(신라 제21대 국왕)9. 연제부인|연제부인한국어10. 법흥왕
(신라 제23대 국왕)11. 사룡12. 수지공|수지공한국어13. 보현공주14. 법흥왕 (= #10)
(신라 제23대 국왕)15. 보도부인|보도부인한국어16. 자비 마립간
(신라 제20대 국왕)17. 파호부인|파호부인한국어18. 박등흔19.20. 지증왕
(신라 제22대 국왕)21. 연제부인|연제부인한국어 (= #9)22.23.24.25.26. 지증왕 (= #20)
(신라 제22대 국왕)27. 연제부인|연제부인한국어 (= #9)28. 지증왕 (= #20)
(신라 제22대 국왕)29. 연제부인|연제부인한국어 (= #9)30. 소지 마립간 (= #8)
(신라 제21대 국왕)31. 선혜부인|선혜부인한국어


3. 2.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복승 갈문왕
어머니미상
형제자매호림공(虎林公)제14대 풍월주 (603–609)
형제자매호린부인(護璘夫人)[1]
남편진평왕
장녀천명공주[2]
차녀선덕여왕
삼녀선화공주[3][4] (그녀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는다.)[5][6]


4. 관련 기록 및 논란

화랑세기》에는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오지 않는 마야 부인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야사이고 위서 논란이 있으므로 실제 역사로 이해될 수 없다.[1] 진평왕의 왕비 마야부인의 딸로 기록된 선화공주는 실존성이 고증되지 않았다.[1] 선화공주는 미륵사지를 창건했다고 하는데, 미륵사지 발굴 결과 미륵사지를 창건한 사람은 선화공주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참조

[1] 문서 Wife of Prince Sujong
[2] 문서 Posthumously known as the Dowager Queen Munjeong
[3] 웹사이트 Princess Seonhwa http://100.naver.com[...]
[4] 문서
[5] 문서
[6] 웹사이트 Princess Seonhwa http://people.aks.ac[...]
[7] 서적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